예천군과 문경시, 영주시 등 경북지역은 지난해 7월 유례 없는 집중호우로 극심한 인적 물적인 피해를 입었다.
사망 15명, 실종 2명, 부상 10명으로 총 27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사유시설 144억원, 공공시설 1922억원 등 총 2066억원 상당의 물적 피해도 있었다. 대규모 피해에 대한 신속한 수습과 복구를 위해 행정안전부가 우선적으로 이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까지 했다.
정부는 이들 지역의 수해 재발 방지를 위해 한천댐 및 사방댐 건설, 내성천 준설 등 대책 마련과 산사태 피해복구비로 총 183억원을 투입했다.
경북도는 앞으로도 지난해와 같은 재난의 일상화, 극한화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관 주도로 이뤄지던 `사후대응`을 바꿔 민관 협력 `사전예방` 체계로 구축할 방안들을 마련했다. 도민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하는 `K-CITIZEN FIRST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올해 1월에는 경북도 재난안전실과 자치행정국을 통합해 안전행정실로 출범했으며 지난해 집중호우와 같은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경북형 재난대응 체계로의 대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 경북형 재난대응 체계
인명우선, 총력대응, 민간협력 등 경북형 재난대응 3대 원칙 아래 △미국 FEMA(연방재난관리청) 위기관리시스템을 선도적으로 도입하는 `사전예방 체계로 대전환` △단위부서 중심에서 전 부서 동원 체제인 `현장 중심의 총력 대응체계로 대전환` △대학, 기업, 연구소와 협력하는 `민간협력 시스템으로 대전환` 을 추진한다.`사전예방 체계로 대전환`
현재의 예방-대비-대응-복구 4단계에서 미국 FEMA의 예방-보호 경감-대응-복구인 5단계로 바꾸며 재해원인 분석 연구를 통한 캘린더형 경북 안전플랜과 道(위기관리센터), 대학 및 연구원이 협력해 관·학·연 합동 위기예보 시스템을 만들었다. `현장 중심의 총력 대응체계로 대전환`
①인명 재산 피해최소화를 지원하는`최고 예방` ②가용인력을 활용해 지나치다 할 정도로 신속한 대피를 지원하는 `과잉대피` ③전염병 등 의료까지 집중 관리하는 `최상보호` ④원상회복 수준 이상으로 복구하는 `최대 복구` 4대 패키지를 경북도 및 전 시·군이 협력해 추진한다.
`민간협력 시스템으로 대전환`
결빙, 포트홀 등 도로위험 정보를 민간 택배차량과 내비게이션업체 등과 연결해 실시간 상황전파를 하는 시스템이며 이를 체계화한다.■ 경북형 재난대응의 특수시책
지역 특성에 적합한 주민대피시스템과 산불 산사태 대응체계 구축 및 패스트트랙을 도입한다.
`주민대피시스템`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을 가동해서 12시간 전 사전대피예보제로 준비단계에 돌입하며 조기대비 단계에서 마을순찰대, 1마을 1대피 전담공무원을 배치해 안전한 대피를 돕는다.
`산불대응체계 구축`
산림청, 소방본부와 함께하는 협력모델로서 핵심사업으로는 119산불특수대응단 62명과 신속대응팀 210명을 운영하고 울릉을 제외한 전 시·군에 산림진화 헬기 배치와 야간진화 가능한 초대형 산불헬기를 오는 2026년까지 도입한다.
`재난예측정보시스템`
산사태취약지역을 6000개소까지 확대하고 산림안전대진단을 통해서 읍·면·동 단위까지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미국 NOAA(국립해양대기청) 재난예측정보시스템을 활용할 계획이다.
`패스트트랙`
앞으로 산불 등 재난전문가 육성을 위해 10년 만에 사무관, 20년 근무 시 국장으로 승진하는 K-안전 Specialist 프로젝트와 행정절차를 6개월 이상에서 최대 2개월로 단축하는 재난복구 패스트트랙 도입을 추진한다.
경북도는 이같은 대비책과 함께 많은 비가 예상되는 오는 6월이 3개월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산사태 지역에 대해 피해복구를 완료한다는 계획을 마련해 놓고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달 14일은 산림청이 경북도, 예천군, 국립산림과학원, 한국치산기술협회 등과 함께 피해지역을 찾아 복구현장을 점검하고 마무리를 빨리해 줄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극한 재난 속에서는 도민보호가 지방정부의 제1의 책무"라며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과 선진 도민 의식을 총결집해서 어떠한 재난 속에서도 도민을 지키고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박외영 기자p0414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