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한의대학교 간질환한약융복합활용연구센터`에서는 `자금정(紫金錠)`이 마약중독(메스암페타민 흥분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으며 침 치료와 병행했을 때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수년간 MRC 연구를 통해 규명했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SCI(E) 국제학술지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Elsevier)에 발표했다.  대구한의대학교 간질환한약융복합활용연구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한 `2018년 선도연구센터 지원사업(MRC)`에 선정된 이후 오는 2025년까지 국비 및 대구시와 경북도의 지자체 지원을 포함해 7년간 121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간질환에 대한 약물 DB를 기반으로 간 손상 등에 대한 한약 복합 신규 소재 개발 및 효능기전에 대한 연구, 한·양약 융복합 신규 약물 최적배합 및 최적비율의 도출, 제품화 연구, 침구 치료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  자금정은 독성(毒性, Toxicity)으로 인해 나타나는 건강상 문제들에 대해 뛰어난 해독 기능을 발휘함에 따라 `만병해독단(萬病解毒丹)`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해독 처방이다.  대구한의대학교는 지난 2018년 `자금정`의 간 보호 및 약물 의존성 억제효과 연구를 위해 간질환한약융복합활용연구센터(MRC)와 대구시, 다나은 한방병원, 청신한약방 4자 간 상호협약을 맺은 바 있다. 그리고 꾸준히 연구를 추진해 온 결과 지난 2022년 `자금정(紫金錠)`이 간 섬유화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이후 또다시 2년 만에 마약중독에 대해서도 억제 효과가 있음을 국제학술지에 발표하는 성과를 이뤘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의학의 우수한 처방을 제품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으며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질환으로 꼽히고 있는 마약중독에서 양약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으로부터 벗어나 한의학에 기반한 우수한 치료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이봉효(사진) 한의학과 교수는 "마약 중독(메스암페타민 흥분성)을 억제함에 있어서 `침+한약` 병행 시술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는 과학적 근거를 최초로 제시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으며 한의원·한방병원에서 널리 시술되고 있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치료 기술인 `침`과 `한약`의 병행 치료가 단순히 전통 방식을 답습하는 시술이 아니라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강두용 기자kwondrumkakao@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