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군은 청소년센터에서 봉화형 치유산업 발굴 국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지난 5일, 6일 열린 이번 세미나는 `치유산업으로 봉화를 뉴빌딩하다`를 주제로 지방소멸에 대응한 향후 봉화군이 치유산업의 중심지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는 이철우 도지사를 비롯한 내빈과 치유산업 관련 국내외 전문가, 언론사, 지역주민 등 250여명이 참석해 많은 관심 속에 개최됐다.  먼저 정승필 영남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과장의 `봉화군 의료치유로 길을 만들다` 주제발표를 시작으로 일본 호쿠토시 후루야켄이치로 국제관광전략관의 `일본 치유산업 활성화 사례`, 김선한 전 연합뉴스 동남아총국장의 `베트남 이해를 통한 봉화형 치유`, 신원섭 충북대학교 교수의 `봉화군 산림치유가 나가야 할 방안`, 정성훈 대한지리학회 회장의 `지역협력형 치유산업 활성화 방안` 등 총 5명의 전문가가 치유산업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봉화군의 치유산업 발전방향에 대해 주제발표를 했다.  특히 군의 역점사업인 K-베트남 밸리사업과 연계한 의료치유, 베트남과 연계한 봉화형 치유는 지역실정에 부합해 더 현실성 있는 주제발표 시간이 됐다.  종합토론은 김창길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농어촌분과 위원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김택환 경북도 기획자문관, 조지현 비즈윈 대표, 정혁훈 매일경제 부국장, 베어스매튜조슈아 한양여자대학교 교수, 홍만표 일-베 경제교류센터 수석연구원, 우부구 군 정책보좌관 등이 참여해 각 기관의 노하우를 공유하고 봉화군의 치유산업 확장방안 등에 대한 많은 제언이 있었다.  세미나 둘째 날은 국립백두대간수목원 탐방과 함께 봉화군이 보유하고 있는 관광, 산림, 농업 치유 자원 등에 체험 및 공유 시간을 가지며 마무리됐다.  김재수 스마트치유산업 포럼 이사장은 "봉화군은 인구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치유사원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어 이를 전략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며 "이번 국제세미나에서 제시된 의견들이 봉화의 치유산업 발전과 인구소멸 위기 극복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박현국 군수는 "봉화군의 새로운 먹거리를 발굴하기 위해 이번 세미나를 개최하게 됐다"며 "봉화형 치유산업이라는 새로운 미래 지향사업 발굴을 통해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관련 산업을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정휘영 기자jhy4430@hanmail.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