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출생률 감소와 함께 수도권·대도시로의 인구 집중화 현상으로 지방 중소도시는 급격한 인구 감소에 따른 소멸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장·군수는 공공기관과 기업 유치 등으로 일자리를 창출해 젊은이들을 유입하고 출생률을 높이는 선순환의 구조를 만드는 정책을 최우선의 목표를 두고 있다.
때마침 지난 2022년 홍준표 대구시장이 대구에 있는 군부대를 경북으로 이전한다는 발표에 따라 유치를 희망하는 상주시, 영천시, 의성군, 군위군 4개 시군의 경쟁이 현재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상주시에도 전 시민과 함께 "소멸해 가는 상주의 발전을 위한 절호의 기회, 이번만은 상주인의 자존심을 걸고 꼭 유치하겠다"는 의지와 열정이 어느 때보다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물론 유치를 반대하는 소수의 시민도 있다.
군부대 이전 반대자가 일부 있다고 해서 상주의 발전과 대다수 시민의 염원을 뿌리칠 수도 없다. 다만 반대자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합당한 조건을 제안해 동참할 수 있도록 지역 정치권에서도 더 큰 지혜와 정치력, 지도력을 발휘해야 한다.
군부대 이전 적지 조건은 전술이 최우선시돼야 한다. 전술상 우수하다면 시민의 일부 반대자가 있더라도 국가안보와 국민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지역으로 이전해야 한다. 주민 수용성과 경제성이 앞의 조건을 능가할 수는 없다.
현재 대구·경북의 인구 489만여명 중 대구권(대구·경산·칠곡·영천·고령·성주·청도)이 60.2%, 인근 위성도시를 제외한 경북도의 인구는 39.8%로 대구권 일극화로 인구분포의 불균형이 심각하므로 군부대 이전지는 대구·경북의 상생 발전을 위해 개발이 낙후한 경북서북부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이 대구경북 통합의 첫 단추로서 원활히 통합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대구 군부대를 상주로 이전한다면 상주시민 약 10만명이 행복해지고 인근 지역인 문경시를 비롯한 여러 시군의 관광 및 경제도 살아나게 된다.
차기 대권 유력 주자인 홍준표 대구시장의 지방보다 국정을 운영한다는 큰 틀에서 통 큰 결단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