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문화관광공사(이하 공사)는 23일 경산시청 별관 회의실에서 `빅데이터로 본 경산관광` 사업 결과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빅데이터 및 공공데이터 등을 수집·분석해 경산의 관광 여건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사업컨설팅을 진행해 경산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맞춤형 관광 전략을 도출해냈다.  빅데이터로 본 경산관광 보고서에 따르면 경산을 방문하는 방문객 수는 지난 2021년 이후 꾸준한 증가 추세로 2023년은 전년대비 2% 증가한 약 3100만명이며 이는 경북도 내 방문객의 약 17.4%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경산의 소셜 언급량과 내비게이션 검색량 분석 결과 대구CC, 인터불고CC, 갓바위, 반곡지 등 상위 인기 관광지로 꼽혔으며 경산시 방문객 특성으로는 대구광역시 유입, 가족 동반이 가장 많은 유형을 차지했다.  공사는 경산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축제가 끊이지 않는 축제 유니버스 경산!`의 최종 비전을 수립하고 `로컬가치 활성화` 등 3개의 추진 과제를 발굴했다.  경산이 가지고 있는 유무형의 가치를 활용한 △로컬 관광 가치 활성화 △ 대학 활용 관광 활성화 △온라인 바이럴 확산 등 추진과제를 선정하고 이와 관련한 다양한 신규사업을 제안했다.  이상훈 마케팅사업본부 전무는 "디지털 대전환(DX) 시대 주요 기술인 빅데이터를 통해 관광 트렌드와 경북도 내 시군의 여건에 맞는 마케팅을 전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도내 22개 시군의 지속 가능한 관광 미래를 위해 공사가 앞장설 것"이라고 대답했다. 박삼진 기자wba112@daum.net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