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와 시의회의 대립이 위험 수위를 넘어서고 있다. 내년도 본예산을 두고 촉발된 갈등은 서로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비난의 악순환으로 이어졌다.
양측 모두 자신들의 논리를 펼치기에 바쁘지만 정작 피해는 시민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시의회는 2025년도 본예산에서 217억원을 삭감하며 이를 "불필요한 예산의 정리"라고 주장했다.
삭감된 예산 중에는 국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저출생 극복 관련 예산도 포함돼 있다. 안동시는 "지역 발전의 필수적인 사업이 멈추게 됐다"며 반발했다.
상황이 이렇게 악화된 이유는 무엇일까? 시의회는 예산 편성과 집행 과정의 투명성 부족과 관행적인 잉여금 발생을 문제 삼았다. 반면 시는 예산 삭감으로 인해 행정 동력이 상실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두 주장 모두 일리가 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 피해가 시민들에게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번 갈등은 예산을 둘러싼 단순한 논쟁이 아니다. 시의회는 시장의 독주를 견제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반면 안동시는 의회의 삭감을 "갑질성 행위"라며 날을 세웠다.
시민들은 이러한 대립에 염증을 느끼고 있다. 지역 주민 김모씨는 "갈등의 중심에 시민들이 있다는 말을 들으면 더 화가 난다"며 "그렇다면 왜 시민들의 불편과 피해는 고려하지 않는지 묻고 싶다"고 했다.
현재의 대립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안동시는 더 큰 혼란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시민 숙원 사업이 중단되고 주요 정책들이 표류하는 상황에서 지역 경제와 주민 생활은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양측 모두 자신들의 주장이 시민을 위한다는 논리로 행동하고 있지만 시민들이 체감하는 것은 혼란과 불신뿐이다. 문제를 해소하려면 먼저 양측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
시장과 시의회 모두 지금의 상황을 반성하고 협력의 장을 열어야 한다. 진정 시민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 숙고해야 한다. 대립이 아닌 대화를 통해 이제는 책임감 있는 자세를 보여줄 때다.
결국 피해는 시민들이 입어야 한다. 행정과 정치가 시민의 행복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도구적 대립의 장으로 전락하는 순간, 누구도 승자가 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