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은 국내 전체 기업 비중의 99%, 고용의 80%, 기업 매출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사실상 국내 경제의 `뿌리` 역할을 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흔들리면 위기는 전방위로 확산할 수 있다. 그럼에도 중소기업은 규모나 자금력이 대기업, 중견기업에 비해 떨어져 최근처럼 빠르게 고환율 국면에 직면하는 상황에 대응이 쉽지 않다.
외환당국과 국민연금의 긴급 진화 움직임, 외환보유고 4000억달러 이상 보유, 양호한 대외건전성 등을 고려했을 때 원·달러 환율이 계속 치솟을 것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현재 수준만 유지되더라도 중소기업에는 치명적이다.
지난 27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장 중 한때 1480원을 돌파했다.
금융위기였던 지난 2009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달러·원 환율은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계엄 직후 1440원을 넘어선 뒤 1460원 선에서 등락하다가 결국 1480원까지 치솟았다. 금융권에선 환율이 1500원대까지 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환율 급등은 수출과 중개무역이 주력인 대한민국 경제에 치명타를 안길 수 있다. 그런데 이 타격이 특히 심한 곳은 환헤지가 어려운 중소기업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평소 환 변동에 대처할 수 있는 자금력이나 헤지방안을 충분히 보유해 두기 어려운 환경이다 보니 갑작스러운 고환율 상황에 대응하기가 어렵다.
원자재 수입이 많은 대기업 대부분은 보험 등으로 환율 변동 위험을 회피하지만 자금사정이 넉넉하지 못한 대다수의 중소기업은 리스크에 그대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처지다.
또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이 지난 9월 발표한 `중소기업 환율 리스크 분석 연구`에 따르면 중소기업은 환율이 1% 오를 때 손해가 약 0.36% 증가하며 이들 기업의 환차손 비중은 영업이익의 25%에 달한다.
갑작스러운 고환율이 중소기업의 재무상황에 악영향을 주면서 정부와 금융권도 구원투수를 자처하고 나섰으나 역부족이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는 고환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을 위해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최원영 중기부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지난 26일 `2025년 소상공인·중소기업 정책금융 공급 계획`을 발표하면서 "지금 고환율로 고통받는 중소기업이 많다"면서 "긴급경안자금 사용요건에 `고환율로 인한 피해`도 포함돼 있어 확대 편성해 놓은 게 마침 그쪽에 쓸 수 있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은행권에서 고환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을 돕기 위해 수입기업들이 주로 이용하는 신용장에 대해 만기 연장 및 결제 자금 지원, 긴급 금리 인하, 보증금 인하 등의 대안을 내놓고 있으나 역부족인 상황이다.
특히 외환당국이 환율시장에 개입하고 국민연금이 환헤지로 소방수 역할을 하고 있으나 추세 자체는 바꾸지 못하고 있다.
정부와 국내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보니 중소기업계에서도 "남는 것이 없다"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