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시는 증가하는 복지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코자 동(洞) 주민센터 복지기능을 강화한다. 시는 복지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최근‘동(洞) 주민센터 복지기능강화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복지인력을 충원하는 등 현장중심의 복지기능 강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르 위해 시는 지난 1일부터 동장이 취약계층 발굴 등 복지업무에 최우선을 두고 동(洞) 행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행정직 등 일부 직렬만 가능하던 동장을 사회복지직도 가능하도록 규정을 개정했다. 동부?중앙동과 함께 서부동에도 복지업무를 전담하는 복지민원담당을 신설해 복지수요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복지민원담당에서 원스톱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또,동부동과 중앙동 복지민원담당에서 처리하던 경제교통관련 업무를 행정담당으로 이관시켜 복지민원팀의 행정부담을 완화해 직원이 복지업무에 전담하도록 조직개편을 완료했다. 이밖에도 맞춤형 개별급여시행과 기초연금제도 등으로 올해 하반기 복지 업무량이 20~30% 증가될 것에 대비해 상반기 중에 사회복지직 공무원을 증원할 계획다. 또한 정부방침에 따라 부족한 인원을 확충하기 위해 보육, 주거, 장애인 등 보편적 복지는 행정직 등이 담당하고, 사회복지직은 긴급복지지원과 복지사각지대 발굴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복지업무를 맡도록 기능조정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4월중에 동장을 대상으로 복지교육을 실시해 동 복지위원 등 복지조직 운영을 활성화해 지역사회 후원자 발굴을 통한 저소득층 지원이 가능한 현장중심으로 동 주민센터가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5월부터는 전체 동에서 사회복지직 6급이나 상담역량이 뛰어난 사회복지직 직원을‘복지코디네이터’로 지정해 개인별 상황에 맞는 전문상담을 실시한다. 영천시는 전체 인구 10만명 중 노인인구가 23%(23,404명)에 달할 정도로 노인인구 비율이 높은 편이며, 기초수급?장애인가구를 포함한 복지대상자는 약4만 300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40%에 이르러 복지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영천시 관계자는“최근 저소득층의 연이은 안타까운 사건은 우리사회의 복지제도를 근본적으로 되돌아보게 한다”면서“주민중심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를 구축하여 늘어나는 복지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삼진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