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가 5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새누리당의 상향식 공천을 놓고 컷오프에 떨어진 예비후보들과 공천 심사를 기다리고 있는 예비후보들 사이에서 경선방식에 문제점을 제기하는 등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새누리당이 2012년 대선공약을 번복해가며 기초선거 공천제 폐지를 하지 않는 대신 도입한 상향식 공천이 대구·경북 곳곳에서 불공정 경선에 따른 파열음이 일면서 경선 방식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늘고 있는 이유다. 상향식 공천을 위한 경선 룰이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기초의원이 제각기 다르고 선거구마다 달라 원칙이 지켜지기 어려우며 공정한 경선을 담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게 회의론이다. 또 여론조사가 후보의 자질이나 능력보다는 인지도에 의해 우열이 가려진다는 것도 상향식 공천 취지를 희석시키는 요인이다. 한마디로 공천 개혁 차원이라는 상향식 공천제도가 상향식 시늉을 하고는 있지만 꼼수와 편법으로 얼룩진 제도로 실제로는 하향식 또는 전략 공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려는 속내가 다분하는 지적이다. 때문에 지난 11일까지 새누리당 경북도당 공천위가 도내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확정한 경선에 출마할 후보 심사에서 탈락한 일부 예비후보들이 무소속 출마로 선회하는 등 당초 공천심사 결과를 후보들이 받아들일 것이라는 예상이 빗나가면서 새누리당의 도내 경선전이 곳곳에서 시비를 낳고 있다. 새누리당 공천위는 도내 기초단체장의 경우 당원 50%와 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것과 100% 여론조사를 반영하는 두개의 안을 검토 했지만 경북의 경우 당원 50%와 여론조사 50%를 반영했다. 그러나 일부 예비후보들은 당원 의사를 50% 반영하면 결국 해당 지역 국회의원이 낙점한 후보로 결정될 개연성이 커지며 여론조사도 전화 착신장치로 여론조작이 가능하고,정치 신인에게는 장벽이 되는 데 비해 현역에게 절대 유리해 민의가 충분히 왜곡될 소지가 있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여기에 경주시의 경우 공천위가  경선에 출마할 후보 심사 일자를 15일로 잡고 있지만 심사도 열리기 전 2~3일 전부터 컷오프 탈락자들의 이름이 지역에서 파다하게 나돌아 탈락 명단에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는 예비후보들이 공천위가 사전 2배수로 공천 경선 명단을 이미 확정하고 모양새를 갖추기 위해 탈락 후보들을 들러리로 이용하려는 것이 아니냐며 공천위의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또 이미 1차 컷오프 탈락 예비후보들도 지방자치선거 후보를 책임당원과 일반국민이 절반씩 참여하는 선거인단 투표로 국회의원의 입김을 최소화 한다는 상향식 공천제는 공천 과정에서 중앙당 지도부나 지역 국회의원의 기득권이 배제돼야 하지만 각 기초자치단체의 선거인단 구성시 지역 국회의원의 영향력을 실제적으로는 배제하기 어려워 탁상공천이나 밀실공천의 소지가 있어 공천결과에 승복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처럼 경주에서 조차  새누리 경선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거세자 새누리당 지역 국회의원인 정수성 의원은 선거과열로 인한 지역사회 분열을 우려하며 "지난 11일 새누리당 경북도당 공천위가 발표한  경북도내 일부 지역 예비후보들의 경선참여 탈락자들이 제기하는 의혹 부분에 대해 공천위와 협의 후 언론에 공개하겠다" 며 지역에서 터져나오고 있는 경선 불공정 논란 잠재우기에 나섰다.           시·도민들도 주민에게 공천권을 돌려준다며 내놓은게 바로 상향식 공천인데 지역 곳곳의 공천 잡음으로 제도의 근간이 흔들릴 경우 새누리당이 국민을 호도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거니와 집권여당의 위상과 신뢰에도 금이 갈 수밖에 없어 더 이상 불협화음이 없도록 철저한 경선관리를 주문했다. 시민 조 모(68, 경주시 황오동)씨는 상향식 공천의 경우 지역 국회의원의 철저한 중립이 전제되야 하지만 자칫 국회의원의 입김이 작용될 시 불공정 경선이 불가피하며 후보 난립으로 표가 분산될 경우 과연 1위 득표자의 당선을 인정하는 게 온당한지도 의문인 만큼 "경선 과정이 지역 유권자들 모두가 공감할 수 있도록 후보경선 정보공개와 함께 투명하게 치러져야 한다" 고 지적했다. 박삼진·김영곤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