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이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동결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다수 의대생들이 수업을 거부하고 있다. 상당수 대학이 당장 유급 행정 처리를 하지 않고 학기 말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만큼 구제에 대한 기대감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학생들의 수업 복귀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전국 40개 의대 학장들과 교육부는 의대생들이 계속 수업에 불참할 경우 학칙대로 유급 처리하겠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지난 23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학장들로 구성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내년도 모집인원이 증원 전인 3058명으로 확정된 이후 회의를 통해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본과생은 학칙대로 유급 처분하기로 결정하고 교육부에도 지난 21일 이러한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간 올해는 학사 유연화가 불가능하다는 원칙을 수차례 강조했던 KAMC는 내년도 모집 인원 동결에도 불구하고 의대생 수업 참여도가 크게 늘지 않자 이같은 원칙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역시 의대 모집인원 동결과는 무관하게 수업 불참 학생에 대해선 원칙대로 처리하겠다는 입장엔 변화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은 전날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의대생 간담회 직후 모집인원 동결에도 수업 참여율이 정체됐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학사 유연화에 대한 기존 원칙은 변함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학들의 유급 처분과 관련해 의대생들과 학부모들의 반발도 여전하다.
유급 시한이 전날(22일)까지였던 한림대 의대는 수업 참여율이 크게 늘지 않자 학부모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에서 교수진은 의대생이 수업에 계속 참여하지 않을 경우 유급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학부모들에게 자녀들이 학교에 복귀할 수 있도록 설득해달라는 취지를 전달했다.
그러나 학부모들 사이에선 "스승의 역할은 학생 보호인데 협박만 일삼는다", "왜 교수의 칼날이 정부가 아닌 학생들로만 향하고 있나", "학교가 학생들을 안 지켜주면 어떡하나할등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림대뿐 아니라 이미 유급 시한이 지난 다수 대학에서도 학생들의 복귀 움직임이 뚜렷하게 나타나진 않은 상황이다. 상당수 대학이 유급 행정 처리를 학기 말에 일괄적으로 하고 있어 학생들 사이에서는 학기 말까지 긴밀히 상황을 살펴보고 지난해와 같이 학사 유연화가 가능할 것이란 기대감이 기저에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급 시한이 지난 18일로 이미 지난 경희대 관계자는 "일정상 유급 도래 날짜가 맞긴 하지만 유급 확정은 학기 말에 이뤄진다"며 "무작정 유급을 시키면 `트리플링`이 발생할 수도 있지 않나. 그런 것들을 다 고려하면 유급 상황은 학기 말이 돼서야 확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내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이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동결됐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다수 의대생들이 수업을 거부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학생들도 교육정상화로 화답해야 할 때가됐다.